레이블이 주가순자산 비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주가순자산 비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7월 26일 수요일

기업의 가치분석 지표의 종류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자본 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 더 자세한 사항)

    자기자본 이익률 (ROE)은 회사가 자기자본으로 돈을 얼마나 벌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지표로서 당기 순이익을 평균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다.

     자기자본 이익률 (ROE) = (당기 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x 100
     
     자기자본에 비해 이익을 많이 내면 낼수록 이익창출 능력이 크다고 할 수 있으므로
     자기자본 이익률 (ROE)은 높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2. 주가수익비율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현재 주가를 주식 1주가 1년간 벌어들일 예상 순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이 이익을 낼 수 있는 힘을 현재의 주가와 비교해 보는 것이다.

     주가수익 비율 (PER) = 주가 / 1주당 순이익)
 
     주가수익 비율 (PER)은 과거 실적에 의한 수치보다 예상 수익에 의한 예상 PER
     가 더욱 중요하다.
     주가수익비율 (PER)는 낮을 수록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고, 높을 수록 고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3. 이브이에비타 (EV/EBITDA)

    이브이에비타 (EV/EBITDA)는 시가총액을 이익으로 나누되 영업 이외의 요인으로
    이익에 영향을 미친 부분을 제외하고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금으로 계산한
    것이다. 특별이익이나 특별손실는 제외하고 영업이익에서 제외되는 감가상각비와
    제세금, 이자비용은 포함시켜서 계산한다.

    이브이에비타 (EV/EBITDA) = (시가총액 + 순차입금)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등
                                          비현금성 비용 + 제세금)

    이브이에비타 (EV/EBITDA)도 PER와 같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되어있고, 높을수록
    고평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4. 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때 몇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시장가치와 청산가치 (장부상의 가치)를 비교해 보는 방법이다.

   주가순자산비율 (PBR) = 주가 / 1주당 순자산

   주가순자산비율 (PBR)이 1이라면 장부상의 1주의 자산가치와 주가가 동일하다는
   뜻이므로 다른 기업에 비해 주가순자산비율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고
   높을수록 고평가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