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열 ====> 네이버 사전
** 잠열 **
물질에 열을 가했을때 온도가 변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질의 상이 변한다. 이와같이 물질의 상태 변화에 관여하는
열을 잠열이라고 하고 온도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단위는 [kcal/kg]
열량, 잠열, 질량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Q Q
Q = m * r m = --- r = ---
r m
여기서
Q = 열량 (kcal)
m = 질량 (kg)
r = 잠열 (kcal/kg)
잠열의 종류
1. 융해열 [latent heat of fusion]
융해열 =====> 네이버 사전
얼음이 물로 변하는 것과 같이 고체가 액체로 변화하는데 소요되는 열을 융해잠열 또는 융해열이라 한다.
다시말해 고체가 액체로 융해할때 주위에서 빼았는 열량을 말한다.
예을 들어 0℃의 얼음이 0℃의 물로 될때는 약 79.68 kcal/kg의 잠열이 흡수한다.
2. 응고열 [latent heat of solidification]
응고열 =====> 네이버 사전
융해열과는 반대로 액체가 고체로 될 때 관여하는 열량을 말한다.
예을 들어 0℃의 물이 0℃의 얼음으로 될때는 약 79.68 kcal/kg의 잠열이 방출한다.
3. 증발열 [latent heat of vaporization]
증발열=====> 네이버 사전
일정 압력하에서 1kg의 액체를 같은 온도, 즉 포화온도의 증기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열량을 증발잠열 또는 증발열이라 한다.
다시말해 액체가 증발 (기화) 될때 주위로 부터 흡수하는 열량을 말한다.
예를 들어 100℃의 물이 100℃의 증기로 될 때에는 약 539 kcal/kg의 잠열을 흡수한다.
4. 응축열 [latent heat of condensation]
응축열=====> 네이버 사전
증발열과는 반대로 기체에서 액체로 응축될 때 관여하는 열량이다.
예를 들어 100℃의 증기가 100℃의 물로 될 때에는 약 539 kcal/kg의 잠열을 방출한다.
5. 승화열 [heat of sublimation]
승화열=====> 네이버 사전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할 때와 같이 고체가 승화하여 기체로 되면서 주위에서 빼앗는 열량을 말한다.
승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아야 한다. 그이유는 고체보다 기체가 에너지를 더 많이 가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승화가 일어날 때 출입하는 여을 승화열이라고 한다.
승화는 어느 경우에나 열을 흡수하는 흡열반응이다. 또한 승화열에는 현열과 잠열이 동시에 관여한다.
현열 [sensible heat]
물질을 가열하여 상태변화 없이 온도만 변하는데 소요되는 열량을 말한다.
즉 물질에 열을 가했을 때 온도차가 발생시키는 열을 말한다.
단위는 열량의 단위와 같다. [kcal]
열량, 잠열, 질량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Q = m * C * △t
여기서
Q = 현열량 (kcal)
m = 질량 (kg)
C = 비열 (kcal/kg*℃)
△t = 온도차 (℃)
댓글 없음:
댓글 쓰기